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하이먼 민스키 모델

by oscal 2023. 9. 26.

하이먼민스키 모델

미국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가 전개한 경제이론이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자산가격이륙 

자산 가격이 장기적으로 횡보하는 구간 동안 현명한 투자자들이 매수하면서 1차 상승이 일어나는데 기관투자자가 주도한다.

 

1차하락

조정장이 오면서 일부 스마트한 개인투자자들이 진입하게 되면 기관투자자들과 손바뀜이 일어나게 된다.

 

환상탐욕

1차하락을 이겨내고 언론사들의 부추김과 대중들의 열광으로 인해 주가 상승추세가 가팔라 진다. 투자자들은 환상과 탐욕을 쫓게 되고 새로운 논리가 탄생하며 주가는 고점을 형성한다.

 

2차하락

주가가 과열되고 경기가 과열되면서 중앙은행인 연준은 금리를 높이게 되고 긴축통화 정책을 쓰게된다. 이 시점에서 2차 조정이 찾아온다.

 

현실부정

이전 주가 고점 버블의 힘과 풀린 유동성으로 인해 현실부정 단계에서 반등이 나오게 되고 두번째 고점을 만들게 되는데 이전 고점을 넘지는 못한다. 이후 주가는 상승추세에서 이탈하게 되면 많은 대중들은 공포에 투매가 나오게 된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로 바라본 나스닥100

현재 나스닥 100차트를 보면 위와 같다.

위의 하이먼 민스키 모델과 매우 유사하다.

현단계에서 미국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장기간으로 이어질거라는 발표로 경기 경착륙을 예측하고 있다.

그로인해 나스닥100 차트를 보면  8월 시작으로 9월도 하락을 하고 있다.

2000년대 IT 버블 시점과도 유사하다는 전망이다.

 

앞으로의 대응

앞으로의 미래예측은 불가능하지만 현재 물가와 유가 상황을 보면 긴축통화정책은 한동안 길게 이어질거라고 보인다.

당분간은 이러다할 호재도 없고 높은 금리로 인한 경제상황은 안좋게 될거라고 보여진다.

주가야 오르면 좋겠지만 그렇다고 폭락을 한다면 내가 모아가는 주식들을 저가에 많이 모을수 있는 기회가 다시 주어진다는 결론이 내려진다.

현재 현금이 없어 미국주가가 오른걸 살짝 떨어진 구간에서 사야하나 고민중이었는데 좀 더 지켜봐야겠다.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G 분석  (1) 2023.09.22
KT 배당 얼마나 나올까?  (0) 2023.09.15
골프존 분석  (0) 2023.09.14
포스코 퓨처엠 증권가 목표주가 상향  (0) 2023.09.01
휴스틸  (0) 2023.08.31